2013/02/04 4

[채식레시피] 우엉차

요즘 나의 요리는 날로 다양해진다. 일상 생활의 창작활동이라기 보다는 재료를 안버리려는 생계형 절약에 가깝다. 내 요리의 포인트는 1인 자취 생활에 남은 식재료를 버리지 않고 다양하게 응용하는 것이다. 특히 채식을 시작하게 되면서 더 그렇다. 시금치 한 단을 사서 샐러드로 만들어 먹기에 양은 너무 많다. 1인이 샐러드를 아무리 먹어도 파릇파릇한 시금치는 쉬이 줄어들지 않는다. 샐러드에 지치면 데쳐 나물로 만들게 된다. 어떤 때는 국으로, 스프로 여러가지 상상을 동원해 만든다. 결국 지난번에 볶아먹고 남은 우엉을 차로 만들어먹는 지경까지 이르렀다. 우엉 4뿌리를 무려 1000원에 주길래 일단 샀다. 두 뿌리는 채썰어 볶아먹고(그 마저도 먹다먹다 지쳐 상해서 버렸다.) 남은 우엉 2뿌리는 랩에 싸서 냉장고에..

[채식레시피]유자된장소스를 얹은 가지구이

3개에 2천원 주고 산 가지를 하나씩 구워먹었다. 하나 남은 가지는 어느새 시들시들 냉장고 구석에서 탄력을 잃어갔다. 그냥 어슷썰기 해서 구워먹는것도 지겹고, 그렇다고 하나 남은 가지를 조리거나, 나물로 만들거나 하기도 귀찮다. 가지는 그 물성이 참 요상하다. 탱탱한 겉과 달리 막상 열기가 닿으면 허물허물하게 부피가 작다. 나물 데치는 것 만큼이나 허무한 부피를 자랑하는게 가지다. 일본 유후인 료칸에 묵은 적이 있었는데, 가이세키 요리중 '유자된장'이 그렇게 맛이 있었다. 유후인 명물이 유자된장이기도 하고 그 료칸 주방장이 특별한 비법으로 개발했다고 한다. 전통 된장이 유자와 만나니 이건 새로운 소스의 세계가 열린다. 된장의 격상이라고나 할까. 유후인 관광하면서 사온 유자된장은 모양만 유자그림이 있을 뿐..

[채식레시피] 두부스테이크와 시금치 샐러드

채식이란 단어에 두드러기 있는 사람이라면 스테이크란 단어가 반갑겠지만, 스테이크는 뻥이다. 굳이 표현하자면 두부 부침개다. 스테이크의 의미가 '고기'를 두툼하게 썰어 불에 뭉근히 구웠다는 의미긴 하나. 두부를 '두툼이'썰어 프라이팬에 잘 구워냈으므로 그냥 '스테이크'란 단어에 묻어가자. 단골 두붓집에서 사는 검은콩으로 만든 두부. 양념 없이 맨입으로 먹어도 무척 고소하고 맛있다. 그러다 변화를 주고 싶어 두툼하게 잘라 구웠다. 넓적하게 썰면 뒤집개로 뒤집다가 모양이 잘 흐트러진다. 요렇게 잘라 구우면 4면을 90도로 돌려 4면을 골고루 익힐 수 있다. 생시금치, 대추방울토마토, 블랙 올리브를 올리브와 발사믹에 살짝 저며 얹어냈다. 스테이크에 샐러드는 필수잖아? 노릇노릇한 두부를 한입 베어 먹는다. 두툼한..

협력적 화음에 관하여

바버의 현을 위한 아다지오가 연주된다. 연주 초반 지휘봉을 따라 일시에 움직이는 현악기가 내는 음을 가만 들으며 눈으로 연주자들의 움직임을 따라가고 있었다. 현을 켜느라 분주한 현악파트 넘어 맨 뒤 가운데, 팀파니스트의 단정히 모은 두 손이 보였다. 굳건한 깍지. 한 시간 반 동안 그이는 몇 분이나 연주에 가담할 수 있을 것인가. 제일 심심할 것 같은 연주자. 가운데 덩그러니 서서 저 사람은 연주 내내 무슨 생각을 할까. 이런 생각을 하다 보니 움직임 없는 관악기 파트가 보인다. 그리고 곧 관악이 음의 풍성함을 더하고, 팀파니의 웅장함이 가세하여 클라이맥스에 이른다. 현의 화음에 관의 화음을 얹고 타악기로 방점을 찍기 위해 그들은 기다렸다. 두 손을 모으고, 악기를 꼭 쥐고, 지휘자의 지휘봉 끝을 보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