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02/13 6

당신과 나, 종이컵 전화기 처럼

종이컵 전화기 같은 관계 당신과 나는 가느다란 실로 연결된 종이컵을 하나씩 가져요. 주어진 시간동안만 임대한 공간에서 당신과 나 둘이서만 대화를 해요. 종이컵은 하나씩. 귀에 대고 가만히 듣거나, 입에 대고 말하거나 한가지에 집중하는거에요. 동시에 두가지를 할 순 없어요. 실이 너무 길어지면 당신의 표정이 보이지 않으니 길이는 적당하게. 줄을 너무 당기면 끊어지니 적당히 느슨하게. 가느다란 줄 하나를 따라 당신과 나 소근소근 이야기를 나눠요. 종이컵을 통하지 않아도 다 들리고 다 말할수 있지만, 컵을 손에 쥐면서 우리는 소통의 규칙이 생겨요. 서로 시선을 교환하며 듣거나, 말하거나.

외로운 것이 겁도 없이

내 이야기를 들어줄 사람을 찾아요. 나는요, 숨도 안쉬고 세 시간을 떠들어댈 수 있어요. 말도 재밌게 많이 할 수 있어요. 혼자 떠들거나 상담도 하려하지 않아요. 제가 떠들면 듣는 사람도 잼있을걸요. 그러니깐, 내 이야기를 들어줄래요? 내 속까지 다 들어오는 것은 바라지 않아요. 그렇다고 냉정한 사람이라고 생각하지 말아요. 다만 마음이 스쳐갈 때 눈이 마주칠 때, 한번 웃어주면 안되요? 혼자서 일인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시작은 나지만 과정은 둘이다. 나는 그들의 이야기를 듣겠다고 인터뷰를 청했고 사람들은 신기하게도 수락했다. 외로웠구나, 다들 나만큼 외로웠구나. 나와 눈이 마주쳐 웃어주길 바란다면 내가 먼저 웃으면 된다. 내가 먼저 숨만 쉬고 세시간 동안 이야기를 들어주면 된다.... 그렇게 건드렸다. ..

[게로] 족욕하며 먹는 게로 군것질의 추억

일본 3대 온천으로 꼽히는 게로 지역 아니랄까봐, 무료 족탕 시설 무자게 많다. 그러나 단연코 북적북적한 곳이 있었으니... [족욕 + 온천달걀 + 기념품쇼핑]라고 써있는 곳. 이것이야말로 일타쌍피, 아니 일타삼피...아닌가. 위치가 온천 중심가라는 최적의 입지조건 뿐 아니라, 기념품과 보기 드문 먹거리도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모락모락 뜨끈한 온천수가 흘러나오는 이곳은 무료 족탕. 따끈하게 발의 때를 불리며(?) TV시청을 하는 사람들. 이 족탕의 목적은 단연코 상품판매를 위함이다. 절대 물에 발만 담그고 뜨는 사람은 없으리~ 한쪽에서는 온천수에서 따땃하게 덮혀지는 푸딩이 있다. 생 오뎅이 지긋이 끓어 다 익으면 옆 칸으로 옮겨 타듯 다 익은 푸딩은 앞 칸으로 옮겨놓는다. 옹기종기 모인 푸딩은 두 종류..

[게로] 나쁜남자가 다녀간 게로 온천지 수명관

수명관 (水明館;수이메이관) 장점 요약 정리 - 나고야에서 2:30분, - 게로 역에서 5분 거리, 최적의 위치 이것이 수명관의 승리. - 천왕부부가 다녀갔다 해서 더 유명해졌음. - 뭐니뭐니해도 게로 온천. 미인온천을 불릴만큼 여성에게 좋은 알칼리 온천수. 매끈매끈함. - 1층 노천, 3층, 9층 최고전망대 온천 3개 운영 수명관은 4동이다. 게로 온천에선 규모가 가장 크다. 병풍같은 산림이 감싸고 앞은 물이 흐른다. 온천 중심가의 중심인 수명관(수이메이관) 큰 건물 세 동이 보인다. 시내 중심가이기도 하며 게로역과 인접해 인기가 좋다. 겨울동안 매주 토요일 밤 불꽃놀이를 하는데 외출하지 않고 수명관 건물에서 불꽃의 환희를 감상할 수 있다. 수명관의 이모저모 몇백년의 역사가 천왕내외가 다녀간 이후로 더..

[게로] 게로 온천의 이모저모

게로 명칭의 유래 개굴개굴... 개구리 울음을 일본어로 표현하면 '게로게로'라고 한다. 이름이 먼저 생기고 의미를 붙였겠지만 이 거리에는 개구리를 테마로 한 아이템이 눈에 띈다. 또 하나의 팁. B급 구르메 vs G 구르메 B급 구르메는 고급 식재료나 일류 서비스에 의한 'A급' 요리가 아닌 일상적이고 서민적인 그러나 맛있는 요리를 의미한다. 라멘, 오코노미야키,다코야키, 우동, 소바, 카레, 덥밥류 등이 대표적이다. 이런 식단을 게로시에서도 도입해 게로 구르메를 만들었다. 그런데 애석하게도 '게로 구르메'는 부정적인 의미가 될수 밖에 없었다. 下呂에서 下의 의미는 토하다, 게워내다의 의미도 있다고 해서 음식과 연관한 타이틀로 어울리지 않았다. G급 구르메로 약칭한다고 한다. 크지 않은 도시이지만 곳곳에..

자문자답 인터뷰 2009년

인터뷰라는 행위에 관심이 많아진다. 나와 대화를 나눈 누군가의 시각이 활자화 되어 매체에 오른다. 회사에선 매달 베스트 직원을 뽑아 포상하고 인터뷰를 싣는데 늘 인터뷰 질문을 만들다가 내가 대상자가 되고 보니 자문자답 인터뷰를 할 수 밖에 없었다. 인터뷰이를 관찰하고 글로 표현한다는것이 결국 인터뷰의 본질이 아닌가. 돌아보니 커뮤니티를 조직하고 문화여행을 만들겠다는 비젼은 변함이 없다. 그렇다면 나는 지금 잘 가고 있는 것인가. Q. 축하합니다. 짝짝짝 2006년 베스트 직원에 이어 2관왕이 되었는데 소감한마디 말해주세요 !! 2관왕이라니, 부끄럽습니다. 이달의 미션이 운이 좋게도 제가 한 활동과 잘 맞은 것 같아요. 하지만 은근 기분 좋네요. 요새 그 때의 감정에 충실한 배낭에 글질하기를 두번째 취미로..

About/프로필 2012.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