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02/09 3

[다카야마] 에도 막부를 느껴보자 다카야마 진야

다카야마 진야 (高山陣屋) 이 건물은 에도시대의 대관소로 1692~969까지 실제로 유지했고 지금까지 현존하는 유일한 곳이다. 재판소와 납세를 관리하는 관청으로 에도 막부의 직접적 지배지이자 경제적 기반이 되었다. 휘장의 무늬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전통문양으로 도쿠가와 막부의 직할지를 나타낸다. 역사나 건축의 구조까지 알진 못하더라도, 간단하게나마 문양이 상징하는 의미 건축의 구조등을 알아보는 계기가 됬다. 사무를 보던 방. 가운데 난방을 위한 이로리가 있다. 토끼문양의 철조각은 기둥의 못을 숨기기 위한장식이다. 토끼문양인 이유는 큰 귀로 백성의 소리를 잘 들으라는 이념을 담고 있다. 물고기 모양양의 것은 쇠주전자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장치다. 목조건물로 늘 화재의 위험이 있기에 물에 사는 생물의 모양..

[다카야마] 오래된 거리를 걷는다 후루이미나마치

400년 전 에도시대의 역사를 간직한 히다지역의 작은 교토라고 불리는 다카야마. 전통적 관광도시 답게 외국인 관광객이 일년에 약 13만명 방문한다. 그만큼 외국인들에겐 일본적인 매력으로 이끌기 때문이다. ▲ 아랫쪽 눈 쌓인 곳이 용수로다. 성이나 절, 신사 가는 길에는 인구가 늘고 번화가가 생기듯 다카야마 진야가 생긴 후 이 근처에서 번화한 거리가 바로 '산마치'다. 역사를 고스란히 담은 이 거리는 일본의 중요 전통 건물 보존 지역으로 선정되어 현재도 갈색과 흑색을 기조로 한 풍경에 어울리는 건축물에만 신축. 개장을 허가한다. 진야는 상급 관리 사무라이가 중앙으로부터 파견된 직할관청이다. 그런 까닭으로 마을의 건물은 진야의 지붕보다 낮게 지어야 했다. 현재의 양조장이나 상가 카페를 비롯한 음식점, 공예점..

츄부지역에서 볼수 있는 공통 아이템 세가지

일본의 정중앙. 일본의 배꼽이라 불리는 츄부(中部)지방의 기후현에서만 특징적으로 보이는 공통적인 상징물을 소개한다. 전통적인 생산품으로 전해지기도 하지만 현대인의 입맞게 맞게 변형되고 응용되어 선보이기도한다. 겨울에만 볼수 있는 하나모찌 (はなもち) 마른 가지에 흰색과 분홍색의 조각들을 붙여 장식된 것을 많이 본다. 하나모찌라는 장식품으로 꽃을 의미하는 하나(はな)와 떡을 의미하는 모찌(もち)가 합쳐진 말이다. 겨울에는 꽃이 피지 않기 때문에 시들지 않는 꽃을 만들어 장식해두는 것이다. 큰 공간일수록 크고 화려하지만 가지 두어개에 몇알의 장식만 해둔 소박하고 앙증맞은 장식도 한다. 위) 후루이 마치거리의 양조장에 놓인 하나모찌. 좌) 신호타카 로비에 장신된 하나모찌와 알프스 산맥을 표현한 나무 부조. 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