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10/25 2

편시춘(片時春)

인생살면서 배우고싶은 것들을 죽 생각해봤는데 그 중 하나가 판소리라. 그런데 그건 아직 알아보지도 않았어. 지금 넘보기엔 너무 시건방진 것 같아서. 나이가 좀 더 먹고나서 사십쯤 되어야 배움을 청할 수 있을것 같아. 판소리만큼 연륜이 배인 사람의 소리가 있을까. 저런 시조가락 읊을 연륜 한자락을 내가 가지고 있을라고... 판소리만큼은 얇은 감흥으로 꾸미는 것은 통하지 않을듯 하기에 편시춘(片時春) 판소리를 본격적으로 부르기 전 목을 풀기 위해 부르는 단가로서 중모리장단의 남도 소리곡조로 인생의 덧없음을 노래한다. 아서라 세상사 쓸데 없다. 군불견(君不見) 동원도리편시춘(東園挑梨片時春) 창가소부(娼家少婦)야 웃들마라 대장부 평생 사업 연년(年年)이 지나가니 동류수(東流水) 굽이굽이 물결은 바삐바삐 백천이 ..

일상의 기록 2010.10.25

서편제

#1 얼마전 뮤지컬 서편제 공연을 보다. 잔잔한 파장이 느껴졌다. 내용의 비장함에 동화되는 면도 있었지만 십수년 아껴왔던 작품이 다시금 새로운 장르로 선보이는 또다른 서편제를 보니 감회가 새로워서이다. #2 16살 중학교 졸업무렵. 어중간한 봄학기를 교실의 VTR시청으로 때우던 때였다. 교육적이라 판단했던지 학교측에선 임권택 감독의 영화 서편제를 선택해 시청케했다. 그 당시 한국영화 최초의 1백만 관객동원으로 흥행몰이에 성공해 화제가 되기도 했었다. 형식적으로 등교하고 대부분 수다나 낮잠으로 보내던 며칠마냥 지루하게 흘러가는데 그날따라 영화 서편제는 소란스런 적막감을 뚫고 내 마음에 들어왔다. #3 3년 후. 수능을 마치고 진로가 각지 정해져 학교에 더이상 볼 일이 없을 때가 왔다. 등교의 목적이 없는 ..

일상의 기록 2010.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