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10/14 4

루브르 천 번 가본 남자 윤운중의 아르츠 콘서트 이탈리아편

루브르 천 번 가본 남자 윤운중. http://sentipark.com/541 지난 위즈돔의 인연으로 이번 콘서트마스트 무대에 갔다. 통섭의 시대, 예술 통섭의 실체라고나할까. 이탈리아의 주요 도시를 중심으로 로마, 피렌체, 베테치아, 밀라노 4군데의 도시여행을 떠났다. 지리 위치를 확인하고 여행지를 사진으로 살피고 대표그림 설명을 듣는다. 약 이십여분 재미난 이야기를 듣고 그 시대의 음악을 감상한다. 영화음악부터 피아노 독주, 오페라 아리아까지 그 범위도 다양하게 편성했다. 지휘자 금난새가 이야기가 있는 음악회를 꾸민적은 있어도 음악과 그림 여행을 종합적으로 한 무대에 구현한 적은 없었다. 특이한 점은 음악연주보다 이십여분 그의 입담이 더 듣고 싶었다. 확실히 재밌다. 무대 뒷편으로 가니 여성 팬들이 ..

글쓰는게 참 좋은데....

글 쓰는게 좋아서 블로그를 시작하고 이젠 블로그에 뭔가를 끄적이는 것이 일상의 한 부분이 되었다. 그런데 노트북을 열고 키보드를 누르기까지 한참 걸리고, 그나마도 앉은 자리서 완성하지 못한다. 내 이야기를 나누기를 즐김에도 불구하고 미룬 기록이 한참이다. 몇 매체에 글을 실을 수 있는 기회도 생기고 해서 고마운데 어딘가에 기록된다는 것 때문에 한편으로는 괴롭기도하다. 인터뷰를 자청해서 해놓고 정리는 아직도 미루고 못하고 있다. 한 사람의 진지한 이야기를 시간을 따로 내어 집중해 듣는것도 흥미로운 일인데 그 이후부터 극심한 두통에 시달린다. 기록하고 알려지고 누군가에게 읽히고 평가될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함부로 배설할수도 없다. 기록을 남기는 것은 좋은데, 글을 쓰는건 좋은데, 늘 부딪히는 일이다. 오늘..

잘 만든 뮤직비디오, 전도 되겠다

나얼의 '바람기억'. 우연히 음악을 듣고 제목을 알아낸 다음, 검색을 하다가 뮤직비디오까지 찾아챙겨봤다. 영화 뺨치는 스케일, 영상미, 게다가 배우들의 연기까지 눈을 뗄수 없다. 종교 없는 내가 보기에도 기독교적 코드가 가득하다. 기독교 색체가 들어있네 마네로 이슈가 되나보던데 그거야 예술가의 표현의 자유고 감동한번 찐하다. 문득 명동 한복판에서 '예수천국 불신지옥'을 확성기에 대고 외치는 열혈신자나 지하철에서 '예수믿고 천당가세요'라던 공공장소의 무법자, 개독교 신자들의 밉상짓이 싹 지워진다. 심지어 교회를 가보고 싶은 생각까지 든다. 완벽한 전도는 문화로 이뤄지는게 아닐까.

[박현진의 쇼쇼쇼] 문화아이콘개발자 신영석 대표 미리인터뷰 '문화를 유통하는 남자'

첫인상은 '저 사람 재밌을 것 같다'였다. 얼굴에 '명랑'이 쓰여있었다. 사람 좋아보이는 동글동글한 인상이 특히 '문화 아이콘기획자'라는 이름과 잘 어울렸다. 문화는 즐겁고 재밌어야 한다는 말을 온몸으로 대변하는 것 같았다. 이번에 그와 만남을 준비하면서 '인터뷰이'에 대해 알 수 있는 자료 좀 보내 주면 좋겠다고 했더니 며칠 후 장장 67페이지짜리 PDF파일을 보내왔다. 거기에는 인간 신영석을 소개하였으며 그가 하는 일이 일목요연하게 정리되었다. 십 년의 세월을 기획자로 살아온 사람의 포트폴리오였다. 새로 발견한 카페로 인터뷰 장소를 잡았다. 퇴근 무렵이라 차가 막힌다고 알려왔다. 약속시간보다 꽤 늦었다. '어우, 늦어서 미안해요.'라는 그에게서 상쾌한 민트향이 훅 뿜어나온다. 센스있는 향내다. 인터뷰..